대학교 2학년 때 기획강의를 들을 때 부터 '목적'과 '목표'의 차이가 헷갈렸다.
시간적 여유가 있었던 탓인지 기획안을 쓰면서 또 궁금해졌다.
대체 '목적'과 '목표'의 차이는 뭘까?
'목적' 슬라이드와 '목표' 슬라이드에 적힐 내용은 어떤 차이가 있어야 할까?
바로 구글링해봤다.
목적은 Goal, 목표는 Objective로 영단어에서도 목표가 좀 더 명확한 지표를 나타내는 듯한 느낌이 있다.
국립국어원에서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목적(目的) | 목표(目標) |
「1」 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 목적을 달성하다/목적을 이루다/목적을 향해 나아가다/목적에 도달하다/뚜렷한 목적을 세우다/이 시험의 목적은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다. 「2」 『심리』실현하고자 하는 목표의 관념. 또는 목표로 향하는 긴장. 「3」 『철학』실천 의지에 따라 선택하여 세운 행위의 목표. 「4」 『철학』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서, 사실이 존재하는 이유. |
「1」 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 목표를 달성하다/목표를 세우다/목표를 정하다/종합 우승을 목표로 하다/6월 말 완공을 목표로 아파트를 짓고 있다. 「2」 도달해야 할 곳을 목적으로 삼음. 또는 목적으로 삼아 도달해야 할 곳. 목표 지점/사격 목표/목표를 향해 전진하다. 「3」 『심리』행동을 취하여 이루려는 최후의 대상. |
1. 목적
목적은 프로젝트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프로젝트의 북극성과 같은 역할을 해서 팀원 모두가 프로젝트의 목적을 이해한다면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에도 '목적'만 따라가면 된다.
그렇지만 목적은 '결과'만을 말하기 때문에
목적을 이루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말해주는 '목표'가 필요하다.
2. 목표
목표는 구체적이다.
눈에 보이는 결과물, 제품 등을 설명하므로 프로젝트를 더 쉽게 완성할 수 있는 자세한 컨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3. S.M.A.R.T 프레임워크
목적과 목표의 차이점을 찾다보니 목표를 설정할 때 방법 중에 하나를 알게 되었다.
바로 S.M.A.R.T프레임워크라는건데,
목표를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하고(Attainable),
목적에 적합하고(Relevant),
시간을 엄수(Time-bound)하게 함으로써
목표에 더 많은 의지를 부여한다.
예시)
#목적 : 자산 관리 SaaS 회사에서 교육을 받는 고객의 만족도를 높입시다.
#목표 : 1월 1일까지 이메일 지원을 대체하여 평균 응답 시간을 2시간 이내로 단축하는 빠른 온라인 사례 시스템을 구축합시다.
* 구체적(Specific): 어떤 일이 일어날지 날짜까지 구체적으로 명시했습니다.
* 측정 가능(Measurable): 응답 시간 2시간이라는 측정 가능한 목표를 세웠습니다.
* 달성 가능(Attainable): 새로운 사례 시스템이 이전 이메일보다 더 신속하게 고객을 지원할 수 있는 수단임
* 목적에 적합(Relevant): 온라인 사례 시스템은 응답 시간을 단축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데 직접적인 기여를 함
* 시간 엄수(Time-bound): 마감일을 설정했기 때문에 시간을 엄수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4. 적용
SMART 프레임워크는 적용하지 않았지만 목적과 목표를 이해하고 작성하니 좀 더 그럴 듯한 기획서의 한 페이지가 만들어졌다.
728x90